본문 바로가기
Chek List/부동산 study

오르는 아파트 특징 부동산 입지 정보 찾기 앱

by -베짱이- 2022. 8. 3.
반응형

부동산 투자 공부를 할 때 빼놓을 수 없는 게 입지입니다. 입지가 중요한 이유는 수요를 결정하기 때문이죠. 강남, 송도, 해운대 등의 아파트가 비싼 이유는 입지가 좋기 때문입니다. 이런 곳들에는 주요 일자리, 상권, 환경, 학군 등 입지적으로 거의 모든 것이 갖춰져 있어 가격이 비쌉니다.

오르는 아파트 찾는 방법 썸네일

 

특징 1. 중학교 학군이 핵심이다.

면학 분위기가 좋은 중학교에 가려면 일단 그 학군에 속해 있는 아파트로 이사를 해야 합니다. 그래서 초등학교 고학년의 학급 수를 보면 인근 아파트의 수요가 많은 적은 지를 판단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선호하는 학군이 있는 곳은 학원가도 잘 되어 있죠. 아이의 교육에 신경 쓰는 학부모들은 좋은 중학교에 배정받기 위해 미리 초등학교 고학년 때 그 중학교에 갈 수 있는 아파트로 이사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학군은 '아실' 앱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아실의 학군 섹션에는 중학교와 고등학교별 학업성취도 평가와 진학률의 도시 전체 순위가 나옵니다.

 

특징 2. 상권이 밀집되어 있다.

선호하는 상권은 '항아리 상권'입니다. 항아리 상권이란 상권 주변을 주거 배후 세대가 둘러싸고 있는 모습이라고 해서 이런 이름이 붙여졌습니다.


이런 곳에는 유통, 현의, 여가시설 등이 잘 갖춰져 있고, 주변 거주민들과 유동인구가 이곳에서 지속적으로 소비하기 때문에 소비 수요가 타 지역으로 유출되지 않습니다.

이런 상권은 '호갱노노' 앱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현재 각 지역 대장 아파트들의 상권을 호갱노노로 보면 많은 지역이 밀집된 모습을 보입니다.

 

특징 3. 직주근접이 가능하다.

아파트 인근에 있는 일자리도 체크해야 합니다. 고급 일자리가 있으면 그 인근에 주거지가 발달하게 됩니다. 대표적으로 판교가 그렇죠.
특히 지방은 산업단지가 집값에 큰 영향을 줍니다. 그 지역 내에 산업단지 같은 탄탄한 일자리가 있어야 인구가 유출되지 않고 직주근접 수요로 인한 주택 구입이 증가합니다.

산업단지의 현황을 보는 방법은 '한국산업단지공단' 홈페이지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한국산업단지공단 홈페이지 - '정보공개' - '산업단지정보' - '산업단지 통계' - '국가산업단지 산업동향'과 '전국 산업단지 현황 통계'를 통해 확인 가능합니다.

 

특징 4. 주변에 공원이 있다.

요즘에는 주변에 공원이 있는 곳을 선호합니다. 아파트 인근에 호수공원이 있으면 금상첨화죠. 호수공원 인근의 아파트가 다른 곳에 비해 비싼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단순하게 녹지만 있는 것보다 호수가 있는 것이 집값에 더 큰 영향을 줍니다.

✔ 공원 현황을 파악하는 방법에는 두 가지가 있습니다.

  • 해당 지자체의 홈페이지에 들어가면 그 지역에 있는 모든 공원을 게재해 놓은 곳이 많기 때문에 목록을 보면서 아파트 인근에 있는 공원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 지도를 열어 아파트 인근에 있는 공원들의 위치를 직접 보면서 파악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특징 5. 확정된 호재가 있다.

호재는 사람들의 심리에 가장 먼저 영향을 줍니다. 부동산에도 매수 심리가 크게 작용하며 한 가지 기억할 것은 호재라고 해서 맹신해서는 안된다는 점입니다. 착공하기 전까지는 실현이 될 수도 있고 안 될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호재가 실현되면 그 지역에 상승의 흐름은 탄력을 받고 가파르게 오르기 때문에 뉴스, 부동산 카페 등을 통해 미리 살펴봐야 합니다.

부동산 투자에서 입지가 전부라고는 할 수 없습니다. 입지도 중요하지만 그 지역이 저평가되어 있는지가 더 중요합니다. 저평가 지역을 찾았다면 입지가 좋은 곳이 어디인지를 찾을 수 있어야 합니다.

그 지역에서 오랫동안 살아온 주민만큼 그곳을 잘 파악할 수는 없지만 좋은 아파트를 찾기 위해 위에 알려드린 부동산 앱과 사이트를 검색하는 손품과 임장의 발품이 있어야 합니다.

 

입지를 분석하면 이 아파트가 왜 저 아파트보다 가격이 저렴한지 이유를 찾아낼 수 있어야 합니다. 이상 아파트 투자 시 체크해야 할 내용이었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