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서울시가 무주택 시민의 주거 안정을 돕기 위해 전월세 보증금을 최대 6,000만 원 무이자로 지원하는 '보증금지원형 장기안심주택' 1차 입주자를 모집합니다. 이 제도는 시민이 직접 선택한 민간 임대주택에 보증금을 지원하는 방식으로 실질적인 주거 안정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보증금지원형 장기안심주택이란?
- 지원 대상: 보증금 4억9천만 원 이하 민간 임대주택
- 지원 금액:
- 보증금의 30% 무이자 지원 (최대 6,000만 원)
- 보증금 1억5천만 원 이하 주택은 50% 지원 (최대 4,500만 원)
- 지원 기간: 최장 10년
모집 규모 및 신청 일정
- 총 모집 물량: 4,000호
- 일반공급: 3,600호 / 신혼부부 특별공급: 200호 / 세대통합 특별공급: 200호
- 신청 기간: 2024년 5월 12일 ~ 5월 14일 (3일간 온라인 접수)
- 발표일: 2024년 7월 31일 예정
신혼부부 및 맞벌이 가구 혜택 강화
이번 모집에서는 맞벌이 신혼부부를 위해 소득 기준이 완화되었습니다.
- 외벌이 가구: 기준 소득 120% 이하
- 맞벌이 가구: 기준 소득 180% 이하
또한, 가구원 수에 상관없이 전용면적 85㎡ 이하 주택 신청이 가능합니다.
‘미리내집’ 연계형 장기안심주택
'미리내집' 프로젝트와 연계해 자녀를 출산하고 10년간 거주 시, 장기전세Ⅱ(미리내집)로 이주 신청 자격이 주어집니다. 안정적인 주거를 원하신다면 미리 준비하셔야 합니다.
신청 방법
공식 모집공고는 SH공사 누리집(SH공사 홈페이지 바로가기)을 통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모든 신청은 온라인으로만 가능하며, 기한 내 접수해야 합니다.
🎈 자세한 내용은 SH공사 홈페이지 '장기안심주택 입주자 모집공고문'을 참조하세요.
마무리
서울시 무주택자 지원정책, 특히 장기안심주택은 주거비 부담을 크게 줄여줄 수 있는 좋은 기회입니다. 조건이 맞는다면 이번 지원을 적극적으로 활용해보세요!
반응형
'Chek List > 부동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파트 매매 절차 및 주의사항 완벽 정리 (중도금 대출, 세금, 비용까지) (0) | 2025.04.26 |
---|---|
LH 매입임대주택이란? 공고 및 자격조건 알아보자 (1) | 2024.10.04 |
부동산 취득세 계산기, 조정지역 비조정지역 매수시 세금 계산하기 (0) | 2024.02.11 |
일시적 1가구 2주택 비과세 규제완화 총정리 (0) | 2023.04.10 |
전월세 신고 안하면 벌어지는 일, 임대차신고 하는 법 (0) | 2023.02.15 |
댓글